개요

건강도시는 건강증진을 실현할 수 있는 하나의 ‘생활의 장’이며, 원칙적으로는 건강증진의 활동 영역과 동일하다.

앞서 언급하였지만, 도시의 단위에서 건강한 공공정책을 형성하고, 지원적인 환경을 구성하고, 지역사회의 활동을 강화하며, 개인의 건강증진 기술을 개발하며 보건의료서비스의 구조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미 많은 도시에서 각 영역에 대한 활동들을 하고 있으나, ‘건강도시’라고 인정하기에는 그 활동이 미미하며 ‘건강’이 도시의 정책이나 행정의 최고 위치에 올라와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도시에서 ‘건강’을 행정의 최고의 목표에 두고, 건강증진의 활동들을 행정 최고 수준에서 실행하는 것이 ‘건강도시’로 가는 첫 번째 단계이다. 건강도시는 도시 전체가 오타와 헌장의 정신에 따른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인데, 아직 대부분의 도시들은 이러한 활동영역에 따른 행동이 미진한 실정이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오타와 헌장이 채택된 후, 각 국가나 지방정부, 그리고 도시들은 이 5가지 활동영역을 이행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즉, 국민/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건강한 선택을 하게 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하여 5가지 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이해하였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전략으로 이루어 나가야 하는 지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이에 대해 유럽지역을 시초로 1986년 세계보건기구에서 ‘건강도시’ 프로젝트를 시작하였고, 오타와 헌장의 5가지 활동영역을 이루어 나갈 수 있는 전략으로 다음의 4가지를 건강도시 프로젝트를 통하여 제시하게 되었다.

4가지 건강도시 프로젝트에 대해 안내합니다.
A 건강도시 프로젝트의 활동과 전략에 대한 강력한 정치적인 지지
B 변화에 적합한 새로운 조직을 형성
C 건강 개발계획을 통해 도시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구체적인 주제를 갖고 사업을 수행할 것에 대한 약속
D 네트워크와 협력을 위한 공식적, 비공식적 투자

이는 유럽건강도시네트워크에서 제시하고 있는 건강도시 사업의 주요 활동 목표이며, 유럽네트워크에서는 각 활동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본보고서 유럽건강도시네트워크 부분에서 다시 다루어진다.

A. 건강도시 프로젝트의 활동과 전략에 대한 강력한 정치적인 지지 (Political Commitment)

  • 우선, 도시의 여러 가지 의무 중에서 ‘주민의 건강한 삶의 보장’이 주요 과제가 되고, 이는 최고 목표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정책 결정권을 갖고 있는 주요 인사들이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위한 투자를 결심하고, 강력한 의지를 표출해야 한다는 뜻이다.
  • 이는 특히 건강도시 프로젝트의 실행을 위한 예산의 확보와 직결된다, 특히, 건강 수준의 향상을 위한 사업의 경우에는 종종 효과가 오랜 시간이 흐르고 난 후에야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등의 전략은 한 세대가 지나고 난 다음에야 그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B. 변화에 적합한 새로운 조직을 형성 (New Organizational Structures)

  • 대표적인 조직들로는 건강도시 운영위원회 (Healthy City Project Steering Committee), 건강도시추진반 (Healthy City Project Office), 지역 내 건강도시 프로젝트 네트워크 (건강한 학교 네트워크, 건강한 직장 네트워크 등),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WHO 건강도시연맹, 전국 건강도시네트워크 등) 등이 있다.

C. 건강 개발계획(City Health Development Plan)을 통해 도시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구체적인 주제를 갖고 사업을 수행할 것에 대한 약속

  • 대여러 차례 언급하였듯이, 건강도시는 주민의 건강과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여러 부서, 단체 혹은 지역사회 조직들의 파트너십을 통하여 이루어 나가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여러 주체들이 파트너십을 이루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것은 공통의 목표와 비전에 동의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건강개발계획 수립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건강개발계획은 수립단계에서부터 관련 단체 및 조직들이 참여하는 것이 가장 권장된다.

D. 네트워크와 협력을 위한 공식적, 비공식적 투자

  • 건강도시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 바로 네트워킹에 있다. 네트워크는 여러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지역 내부적으로는 전반적인 건강도시 프로젝트 네트워크나 핵심 사업별 네트워크인 건강한 학교 네트워크, 건강한 직장 네트워크, 건강한 식당 네트워크 등이 있다. 국가 단위로는 건강도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도시들의 네트워크인 국가 건강도시 네트워크(National Network of Healthy Cities)나 사업의 주제별로 전국 건강한 학교 네트워크 등이 있다. 국제적인 수준에서는 WHO 건강도시연맹 (WHO Alliance for Healthy Cities)나 WHO 유럽건강도시네트워크(WHO European Healthy Cities Network) 등이 있다.
  • 네트워크를 통한 활동은 도시의 건강도시 사업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촉진제가 된다. 네트워크를 설립하는 목적은 건강도시와 관련된 효과적인 전략들은 연구하고 이를 각 회원도시에 제안하는 것이며, 특히 국제네트워크는 국가 내에서 건강도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강력한 지지 세력이 된다. 또한 네트워크에 속한 도시들 간에 정보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상호 연대성을 강화하여 협력 사업을 추진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입장에서는 건강도시 사업을 다른 도시에도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게 되고, 각 회원 도시들의 사업을 집대성하여 사례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인 건강도시 정책을 개발한다.
  • 종합해 보면, 건강도시는 주민들의 건강한 삶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건강한 선택이 용이하도록 제반 여건 마련에 노력하는 도시를 말하며, 이러한 여건은 오타와 헌장에서 발표한 5가지 활동사항인 건강한 공공정책의 수립, 지원적인 환경조성, 지역사회 활동 강화, 개인기술의 개발 및 보건의료서비스의 재조정이 해당한다. 건강도시의 활동영역은 건강증진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시” 단위에서의 노력을 말하며, 도시의 최고 정책 결정권자의 강력한 정치적 의지, 리더십, 부문 간의 파트너십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원활히 수행해 나갈 적절한 조직적 구조의 마련 등이 이에 해당한다.
  • 따라서, 건강도시의 도입기 단계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4가지 활동 영역, 즉, 강력한 정치적 의지의 확보, 비전 공유, 조직의 형성 및 네트워크 형성 등이다.
정치적 의지, 리더십, 부분 간 파트너십, 조직개편 > 건강한 공공정책, 지원적인 환경조성, 지역사회 활동강화, 개인기술의 발달, 보건의료서비스 재조정 > 건강한 선택이 쉬운 도시 조성 > 건강, 삶의 질 향상
문의전화
민원콜센터 ( 1899-1111 )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