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영권 의원
건설해양농림위원회
(자산·교방·오동·합포·산호동)
마산해양신도시 개발은 20년 가까이 표류해왔다. 오랜 지연과 우여곡절 속에서도 시민이 손꼽아 기다려온 것은 다름 아닌 중앙광장이다. 길이 608m, 폭 50m 규모로 계획된 이 광장은 도시의 심장부이자 정체성을 담은 무대다.
그러나 창원시는 최근 이 광장을 ‘상부 개발과의 부조화 우려’라는 이유로 사실상 반대했다. 이미 반영된 49억 원의 예산은 정산 처리하고, 특별회계에서 추후 다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실상 시민 공간을 민간 개발 일정에 맞추겠다는 것이다.
광장은 건물이 완성된 뒤에 꾸며지는 부속물이 아니다. 오히려 도시의 방향을 먼저 이끄는 공간이다. 서울광장은 1만 3000㎡ 규모지만, 매년 축제와 집회, 문화행사로 ‘시민의 거실’ 역할을 한다. 광화문광장은 3만 4000㎡에 달하며, 국가적 기념식과 대규모 집회의 상징적 무대가 되었다. 마산해양신도시 중앙광장은 약 3만 800㎡ 규모로, 창원의 도시 브랜드를 높이고 시민의 자부심을 세울 핵심 동력이 될 곳이다.
광장은 단순한 녹지가 아니라 마산해양신도시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핵심이다. 개발 계획에도 ‘도시 테마와 특성을 반영한 특화 시설’로 명시돼 있는 만큼, 민간 개발 일정에 맞춰 미루는 것은 공공성을 외면하는 처사다. 경제적 효과도 크다. 시민을 모으고 관광객을 끌어들이며, 주변 상업·문화시설을 활성화한다. 공원이 쉼터라면, 광장은 무대다. 신도시의 활력을 만드는 힘은 광장에서 나온다.
마산은 한때 인구 50만 명을 넘어서며 경남의 대표 도시로 우뚝 섰지만, 지금은 기업과 사람이 떠나 상권이 급격히 쇠락했다. 최근 롯데백화점 마산점의 폐점은 그 침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런 현실에서 필자는 마산권이 다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업 유치를 통한 고용 창출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함을 강조한다.
나아가 구산해양관광단지와 해양신도시 같은 대형 프로젝트가 조속히 매듭지어져야 시민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민간 개발 논리보다 시민 공공성이다. 상업 지역 비율은 오락가락하며 늘리면서 시민이 누릴 공간은 뒤로 미루는 것은 모순이다. 이미 반영된 예산이 있다면 정산이 아닌 집행으로 이어져야 한다. 광장을 먼저 열어야 시민이 해양신도시를 체감하고, 전체 사업도 신뢰를 되찾을 수 있다.
광장이 살아야 해양신도시가 산다. 광장이 활성화되어야 해양신도시가 살아나고, 옛 마산 산업화와 예술인의 요람이던 7대 도시의 명성을 되찾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창원 마산합포구 원도심도 변화와 발전의 동력을 얻게 될 것이다.
해양신도시 내 중앙광장은 하루빨리 개장되어야 한다. 그것이 곧 창원특례시의 미래를 여는 첫걸음임을 필자는 호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