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 핵심 동력 확보로 새로운 미래 연다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AI 분야 등 주요 국비사업 71건 7228억 원 반영
정부 지방시대위원회 등 잇달아 방문, 특례시 기준 완화, 특별법 제정 건의
새 정부 출범 이후 미래 핵심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창원특례시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최근들어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을 비롯한 간부 공무원들이 잇달아 지방시대위원회,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 부처와 국회를 방문해 현안사업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고 나섰다. 이러한 노력들로 인해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지역 주요 사업이 대거 반영되는 결실도 거두고 있다.
◆내년 정부 예산안에 주요 사업 대거 반영= 정부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한 2026년도 예산안에 창원특례시의 새로운 미래를 열 주요 핵심 성장동력 사업이 대거 반영됐다.
시는 새 정부 출범 전부터 2026년도 국비 확보 대상 사업 발굴 보고회와 추진 상황 점검 보고회를 통해 미래 핵심 국비 사업을 발굴, 추진 상황을 점검해 왔다. 뿐만 아니라,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를 수시로 방문해 지원을 요청하는 등 예산 심의에 적극 대응해 왔다. 이에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연례적이고 반복적인 사업을 제외한 창원특례시의 주요 사업 71건, 7228억 원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됐다.
반영된 주요 사업들을 살펴보면 △피지컬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및 실증 400억 원(총사업비 1조 원) △글로벌 제조융합 소프트웨어(SW) 개발 및 실증 135억 원(총사업비 493억 원) △제조특화 초거대 제조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 및 실증 77억 원(총사업비 227억 원) △소형모듈원전(SMR) 로봇 활용 제작 지원센터 구축 29억 원(총사업비 323억 원) △극한 소재 실증 연구 기반 조성사업 325억 원(총사업비 3097억 원) 등이 포함됐다.
또한, △창원국가산단 문화선도 산단 조성 125억 원(총사업비 751억 원) △한류 테마 관광정원 조성 등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사업 83억 원(총사업비 901억 원) △자연재해 위험 개선지구 정비 등 재난 예방 사업 214억 원(총사업비 1932억 원) △진해신항 건설사업 4600억 원(총사업비 7조9195억 원) 등도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됐다.
시는 향후 선정 기간이 도래하지 않은 정부 공모사업, 총액 배분 사업 등 국비가 확정되지 않은 사업들에 대해서도 기획재정부 및 지역 국회의원 협력 등을 통해 최대한 많은 국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방침이다.
◆특례시 지위 사수 등 지역 현안 대응 총력=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지난달 22일 지방시대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 등을 방문해 시의 주요 현안사업에 대한 지원을 건의했다.
이날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설립 △부전~마산 복선전철 조기 개통 등 경남지역 공약에 반영된 사업과 함께, 특례시의 안정적 운영 및 실질적인 권한 확대를 위한 비수도권 특례시 지정 기준 변경 및 특례시 지원 특별법 조속 제정 등을 요청했다.
이 외에도 △마산지역 활성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통합시 행정구의 인구 감소(관심) 지역 선정 △NC 다이노스 야구 관람객 철도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KTX 열차 증편 및 운행시간 조정 △동대구~창원~가덕도신공항 고속화철도 건설 등도 협조를 구했다.
지난달 25일에는 창원스포츠파크 창원체육관에서 열린 ‘2025 창원특례시 이ㆍ통장연합회 한마음 다짐대회’에서 비수도권 특례시 기준 완화와 특례시 지원 특별법 조기 제정을 촉구하는 범시민 캠페인도 시작했다. 이달부터는 바르게살기운동 한마음 다짐대회 등 대규모 단체 행사와 55개 읍면동에서 릴레이 퍼포먼스를 이어갈 계획이다.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국내외 정책 환경이 급변하는 중차대한 시기인 만큼,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면서 새 정부 국정 기조에 발맞춰 당면 현안 해결과 창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진설명: 창원특례시가 지방시대위원회 등 정부 부처 방문(왼쪽)과 특례시 지위 사수 캠페인(오른쪽) 등을 통해 지역 현안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