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 내년도 주요 현안사업 국비 확보 위해 기재부 방문
AI 자율 제조 전담 지원센터 구축 등 예산 심의 단계부터 국비 반영 건의
창원특례시가 2026년도 국비 확보를 위해 행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지난 16일 기획재정부를 방문해 시의 주요 미래 성장동력 사업들을 설명하고 내년도 국비 예산에 적극 반영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날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 사회예산심의관, 경제예산심의관, 복지안전예산심의관을 비롯해 연구개발예산과, 문화예산과, 안전예산과 등을 차례로 방문해 내년도 주요 현안 사업을 설명하고, 이들 사업에 대한 국비 반영의 절실함을 전했다.
이날 건의한 주요 사업은 △창원 인공지능(AI) 자율 제조 전담 지원센터 구축 △인공지능(AI)ㆍ멀티모달(multimodalㆍ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기술) 기반 메카트로닉스 의료기기 실증센터 구축 △드론 제조 국산화 특화단지 조성 △산단 수출기업 디지털제품여권(DPP) 지원체계 구축 등 현재 창원특례시가 준비하고 있는 미래 핵심 성장동력이 주를 이루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남부권 광역관광개발) 한류테마 관광정원 조성 △안골지구 자연재해 위험 개선지구 정비사업 △용원지구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정비사업 등 관광 및 시민 안전과 직결된 주요 현안에 대한 국비 반영도 함께 건의했다.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지난 4월 14일에도 국회를 방문해 5개 지역구 국회의원실을 직접 돌며 2026년도 국비 확보 및 현안사업 해결 방안 등을 논의했다. 권한대행 체제 전환 후 지역 국회의원과의 첫 공식 회동이었다.
창원특례시는 4~5월 중앙부처별 예산 편성 단계에서부터 국회와 협력해 주요 현안사업에 대한 국비를 우선 반영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이날 국회를 방문했고, 지역 국회의원을 만나 13개 사업(총사업비 7492억 원, 내년도 신청액 527억 원)에 대한 지원을 건의했다. 하반기에는 지역 유관기관, 국회의원실 등과 ‘원팀-창원시’ 체계를 구축해 국비 확보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기재부 방문을 통해 우리 시 미래 핵심사업과 현안 사업의 국비 지원에 대한 절실함이 잘 전달되었기를 바란다”며 “올해 말 정부 예산안이 확정되는 순간까지 최대한 많은 국비가 확보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사진설명: 창원특례시가 지난 16일 기획재정부를 방문해 지역 현안사업에 대한 내년도 국비 반영을 건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