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창원시보

2025년 하절기 종합대책 추진...현장 중심 재해 대비, ‘시민 안전’ 최우선

작성자 :
창원시보
등록일 :
2025-06-25
조회 :
7

창원특례시는 여름철 기상이변에 따른 폭염, 집중호우 등 각종 자연재해로부터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섰다. 하절기 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침수우려지역과 대형사업장 등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장마철을 맞아 빗물받이 점검과 정비에도 힘을 쏟고 있다.



생활안전 등 4대 분야 36개 대책 마련
침수우려지역, 대형 사업장 점검 강화


창원특례시는 여름철 기상이변에 따른 폭염, 집중호우 등 각종 자연재해로부터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섰다. 하절기 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침수우려지역과 대형사업장 등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장마철을 맞아 빗물받이 점검과 정비에도 힘을 쏟고 있다.

◆이달부터 4개월간 ‘하절기 종합대책’ 추진= 창원특례시는 여름철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달부터 9월까지 4개월 동안 ‘2025년 하절기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절기 종합대책은 △생활 안전 대책 △보건ㆍ위생 관리 대책 △불편 해소 대책 △에너지 절약 대책 등 4대 분야 36개 세부 대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올해는 ‘시민 생명 보호 최우선, 현장 중심 자연 재난 대비’를 추진 목표로 삼아 △신속한 위험 상황 전파 △취약지역 발굴 관리 △재해 약자 안전 보장 △피해 주민 생활 안정에 중점을 두고 기상정보와 예비특보 단계부터 철저한 대비와 피해 우려 지역에 대한 반복 점검을 병행해 나가고 있다.

특히, 지난해 발생했던 국지성 집중호우, 저지대 침수, 지반침하(싱크홀) 등의 피해를 사전에 막기 위한 신규 대책도 추가로 마련했다. △배수펌프장 사전 점검 및 가동훈련 강화 △빗물받이 및 하수관로 정비 확대 △지반침하 예방 관리 강화 등을 통해 시설별 사전 점검을 강화하고 침수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폭염 취약계층인 어린이와 노인 등에 대한 맞춤형 보호 대책도 마련하는 한편, 집중호우와 장마에 대비해 상습 침수지역을 중심으로 빗물받이 등 하수도 시설물에 대한 집중 점검도 실시했다.

◆침수우려지역, 대형 사업장 등 점검 강화= 극한 호우와 태풍 등에 대비하기 위해 방재시설, 대형 사업장, 침수우려지역 등에 대한 현장 점검도 강화하고 있다.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지난달 26일 마산합포구 서항 배수펌프장, 우수 저류시설, 기립식 방조벽 등 주요 방재시설과 마산회원구 회성동 자족형 복합행정타운 등 대형 사업장에 대한 재난 대비 상황 및 시설물 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했다.

이날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배수펌프와 기립식 방조벽을 실제 가동해 관리 상태를 확인하고, 정전 상황에 대비한 비상 전기시설 설치 여부를 비롯해 수ㆍ배전시설, 유수지 스크린, 도수로 관리 실태 등 세부 항목까지 면밀히 살폈다.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는 집중호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산합포구 월영동 침수우려지역과 산호동 빌라 옹벽 복구 현장에 대한 점검에 나섰다. 월영동 침수우려지역 빗물받이 청소 및 준설 상태, 하천 시설물, 침수 발생 시 주민 대피계획, 산호동 빌라 뒤편 옹벽 복구사업 추진 상황 등을 꼼꼼히 점검했다. 지난 21일에는 장마철을 앞두고 성산구 토월지하차도, 성산구 성주지하차도, 의창구 용원지하차고 등을 점검했다.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올해 하절기 종합대책은 시민의 안전과 일상을 지키기 위해 더 촘촘하고, 가까운 현장 밀착형 대책을 마련해 추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히고, “시민 모두가 여름철 자연재해 예방에 힘을 모아 줄 것”을 당부했다.

※사진설명: 여름철 자연재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는 창원특례시가 지난 13일 마산합포구 산호동 빌라 뒤편 옹벽 복구현장을 찾아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공공누리의 제 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문의전화
공보관 ( 055-225-2131 )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