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살고있는 감계힐스테이트 4차는 1600세대가 넘는 대 단지이며 주변의 아파트 10여채 정도가 모두 각각 천여세대가 넘는 대단지로 이루어져있는 곳이 바로 감계지구입니다.
하지만 저희 집앞에는 버스가 단 두대만이 다니고 있습니다. 버스는 적게 다니고 이용하는 주민은 많고 늘 버스는 만원입니다. 노선도 아주 불편하게 되어있어 목적지까지 버스를 타고 가려면 환승을 두세번은 기본으로 하여야 합니다. 돈을 좀 더 내더라도 좌석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면 좋겠건만, 아예 좌석버스는 감계로 들어오지도 않습니다.
버스노선 확대증설과 배차시간감소가 꼭 필요한 시점입니다.
북면 시민들은 버스가 불편하여 택시를 타고 싶어도 그럴수 없습니다. 북면으로 들어서는 굴현터널을 기점으로 택시 할증요금이 20%나 붙기때문입니다. 야간에는 40%이지요.
마산중리는 신도시 건립 1년째 택시비할증이 폐지되었다고 들었는데 북면은 4년이 넘도록 택시비 할증폐지가 되지않고 있습니다. 창원시 인구는 줄어가는 가운데 북면만 유일하게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북면시민의 교통불편 감소를 위해 힘써주십시오!
2.감계복지관내 북카페공간을 어린이도서관 공간으로
민원 1의 내용에도 말씀드렸다시피 감계는 대중교통이 매우 불편합니다. 게다가 감계내 영유아 수가 아주 많은데 반해 어린이를 위한 복지시설이 없다고생각합니다.
이번에 지어지는 감계지역의 복지관 내에 북카페공간이 만들어진다고 들었습니다.
북카페공간을 어린이 도서관공간으로 사용한다면 감계내 영유아들이 힘들게 멀리 다른 도서관에 가지 않아도 책을 가까이 접할수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수있으리라 생각합니다.
3.북면지역 고교신설
북면지역의 초등학교만 4개에 달하고
중학교도 두곳이나 있습니다.
현재 북면내에 어린이집/유치원 대란이 일어날 만큼 영유아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있습니다.
북면지역의 고교신설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타지역에 있는 고교를 북면지역으로 옮긴다는 고교이전은 다른 지역과 북면과의 갈등만을 야기시킨다고 생각합니다.
가포고 이전이 아닌 북면을 위한 새로운 고교신설을 건의합니다.
북면주민들은 고교신설을 원합니다!
4.북면 송전탑 반대
북면송전선로 건설사업에 반대합니다.
지난 5년내 창원시 전력사용량이 6.3%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산업구조재편에 따른 결과이며
북면 인구 증가에도 북면이 속한 의창구 인구는 정체 또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 의창변전소를 준공하고 계획대로 증설하면 북면변전소를 건설하지 않더라도 중동지구를 비롯한 신규개발수요에 대응할 수 있으며, 차룡변전소 공급능력을 충분히 분담할 수 있습니다.
한전과 산자부가 이유로 들고 있는 창공변전소 공급분담은 공단전력사용량이 크게 줄고 있는 현 실정에서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한전과 산자부가 건설이유로 내세우고 있는 내곡지구 개발은 사업성 등 이유로 인가취소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사업타당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생략한 채 현실성이 떨어지는 모형조사로만 전력수급계획안을 짜면서 지역실정을 도외시하는 문제를 낳고 있습니다.
의창구 인구가 줄고 있고, 전력사용량도 크게 감소하고 있는데도, 관내에 240MW급 두 개의 변전소를 짓겠다는 것은 혈세낭비사업입니다!
북면송전선로 건설사업은 철회하거나 무기한 연기해야 하며 객관적인 의창구 전력수요예측 타당성 용역조사를 실시한 후 재추진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의창변전소 준공과 증설로도 전력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과학적인 데이터가 증명되어야 재추진여부를 논의할 수 있는것입니다.
북면송전선로 건설사업을 철회하면 600억 원 이상의 예산절감효과가 있고 3만 무동.동전.감계주민들의 건강권, 생존권, 재산권이 침해받지 않습니다
❍ 반갑습니다.
『북면주민의 여러 가지 불편사항과 민원』에 관한 귀하의 글을 잘 읽어 보았습니다.
❍ 우리시는 북면(감계) 지역의 급속한 인구 유입에 따른 복지수요에 대응하고 주민생활 편의를 향상시키고자 지역 주민이 골고루 즐길 수 있는 복지회관 건립을 추진 중으로,
❍ 이 시설은 도서관이 아닌 복지회관으로 그 중 일부에 이 시설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책을 읽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독서공간으로 건립중임을 알려드립니다.
❍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노인장애인과 복지시설담당(T:225-3845) 로 연락주시면 상세히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