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분석근거
자체검사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분 | 검사대상 | 검사주기 | 검사항목 | |
---|---|---|---|---|
덕동 물재생센터 |
유입수 | 매일 | 공공하수도시설 운영관리 업무지침 | |
1분배조 유출수 | 공정 관리 | |||
2분배조 유출수 | ||||
최종 방류수 | 하수도법 시행령 제15조제3항 | |||
공정별슬러지 | 2주 1회 | 공공하수도시설 운영관리 업무지침 | ||
탈수 공정수 | 매월 | |||
연 계 처 리 시 설 | 덕동 | 분뇨 | 매주 | |
창원 | ||||
덕동 | 가축 분뇨 | |||
창원 | ||||
마산 | 음식물 폐수 | |||
창원 | ||||
덕동 매립장 | 매립장 침출수 | |||
천선 매립장 | ||||
에코 시스템 | ||||
중계펌프장 7개소 | 유출수 | 매월 |
검사의뢰 (도 보건환경연구원)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검사 대상 | 검사 주기 | 검사 의뢰 기관 | 검사 시행 근거 |
---|---|---|---|
수질오염물질 (하수 유입수 및 방류수) |
매월 | 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
공정 관리 |
하수처리 탈수오니 | 1회/분기 | 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
하수도법 제19조제3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2조 |
생태독성 (하수 유입수 및 방류수) |
매월 | 환경 측정 대행업체 | 하수도법 시행령 제15조제3항 |
시료채수시 유의사항 및 채수지점 현황도 (근거 : 공공하수도시설운영관리업무지침)
- 시료채수의 시기는 강우시 우수가 유입되거나, 하수 및 폐수발생이 적은 시간대(야간)의 하수가 유입·처리되어 방류되는 시간은 배제하고, 정상적으로 유입 또는 처리되는 시간대를 고려하여 채취한다.
- 유입수 및 방류수의 시료채취는 수질오염공정시험법중 배출허용기준 적합여부 판정을 위한 복수시료채취방법에 준하여 채취하여야 한다.
- 유입수의 채취지점은 하수 차집관로 말단부 (하수처리시설 유입직후 : 반송수, 분뇨, 가축분뇨, 침출수등 연계처리수 혼합전) 에서 채취하여야 한다.
- 방류수의 채취지점은 최종방류구에서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염소소독을 실시하는 처리시설의 경우에는 잔류염소등 산화성 물질에 의해 BOD나 COD의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동 항목의 분석시에는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에 따라 시료를 전처리한 후 분석하여야 한다.) - 분뇨, 가축분뇨,침출수등 연계처리수의 채취지점은 생활하수와 연계처리수가 혼합되기 이전의 지점에서 채취하여야 한다.
- 페이지 담당자
-
- 문의전화 : 1899-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