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이란
결핵이란
- 결핵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한 공기매개 감염질환
- 신체 여러 부분을 침범하며 감염자 중 약 10%에서 결핵으로 발병 (2년 내 5%, 나머지 5%는 평생에 걸쳐 발병)
주요증상
- 전신증상으로 발열(대개 미열로서 주로 오후에 발생),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
- 감기증상과 비슷하나 2주 이상 기침 지속
-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여 나오거나 흉통
감염경로
- 전염성 결핵환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결핵균이 포함된 미세한 침방울이 공기를 통해 떠다니다가 다른 사람이 숨을 쉴 때 들이마셔 폐 속에 들어가 감염
- 이미 감염이 되어있는 사람도 폐 속에 결핵균이 들어오게 되면 폐의 어느 부분에 작은 병집이 생기게 되는데 결핵균을 들여 마신다고 해서 다 환자가 되지는 않는다.
결핵의 진단과 치료
- 결핵의 진단 : 흉부 X선 검사 후 결핵이 의심되면 결핵균 검사 (도말검사, 배양검사, 약제감수성, 핵산증폭검사)실시
- 결핵의 치료 : 표준치료기간은 6개월
- 초기 집중치료기 : 2개월간 4제(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
- 복용기 유지치료기 : 4개월간 3제(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복용
- 다제내성 결핵 : 결핵 치료의 근간이 되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약제인 이소니아지드 (INH)와 리팜핀(RIF)에 동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 최소 18개월간 치료 필요
일반적인 결핵예방법
- BCG접종
- 이미 감염이 되어있는 사람도 폐 속에 결핵균이 들어오게 되면 폐의 어느 부분에 작은 병집이 생기게 되는데 결핵균을 들여 마신다고 해서 다 환자가 되지는 않는다.
- 개인건강관리
- 결핵은 심한 피로, 스트레스, 무리한 체중감량 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가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영양상태를 유지, 금주·금연 필수
- 의심증상시 결핵검사
- 2주 이상 기침이 지속되면 결핵을 의심하고 결핵검사 실시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 손이 아닌 휴지, 손수건 또는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는 기침예절을 잘 실천
결핵과 잠복결핵 비교
- 전염성 결핵 환자와 접촉 시 밀접접촉자의 약 30%가 감염, 일반적으로 약 10% 발병
- WHO 보고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약 1/3이 잠복결핵에 감염되어 있으므로 잠복성결핵의 진단 및 예방적 화학요법 치료가 필요함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결핵과 잠복결핵의 비교 구분 잠복결핵 결핵 정의 - 결핵균이 몸에 들어왔으나 질병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
- 면역이 약해지면 증식하여 발병
- 약 10%가 결핵으로 발병
- 결핵균이호흡기를 통해 폐로 들어가증식하며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감염병
- 우리 몸 어디서나 발생 가능
- 85%는 폐,15%는 림프절, 척추 등 폐 이외의장기에서 발생
증상 - 전혀 없음
- 기침, 객담(가래), 체중 감소, 미열 등
전파력 - 전혀 없음
- 기침, 재채기 등을 통해 전파
- 단, 폐결핵만 전염성이 있음 - 객담(가래) 결핵균검사를 통해 전염성여부 판정
검사방법 -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TST)
- 혈액검사((IGRA)
- 흉부X선 검사
- 객담(가래)검사
* 필요시, 정밀검사(흉부 CT 등)
치료 - 3개월(2종류의 항결핵약제) 또는
- 4개월 또는 9개월(1종류의 항결핵약제)약물치료
- 결핵 발병을 90%이상 예방
- 최소 6개월 약물치료
- 4종류의 항결핵약제 복용
- 치료 시작 2주 내 대부분 전염성 소실
지원기간
- 지원 개시연도 기준 연속 최대 3년
지원금액
- 본인일부부담금 연간 최대 120만원, 비급여 본인부담금100만원 지원
결핵관련 사이트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결핵바로알기 | http://tbzero.cdc.go.kr | |
---|---|---|
국립마산병원 | http://www.mnth.go.kr/ | 대표번호 : 055-246-1141, 결핵전담간호사실 : 055-249-3900, 3901 |
대한결핵협회(경남) | http://www.knta.or.kr | 이동검진, 객담검사, 크리스마스씰 관련 문의 : 055-246-4223 |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 https://is.cdc.go.kr | 환자신고,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진단·치료 상담, 교육 : 043-719-7913 결핵통합관리시스템 관리 : 043-719-7323, 7338 |
문의
- 진해보건소 결핵관리실 : 055-225-6127, 6145
- 페이지 담당자
-
- 문의전화 : 1899-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