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사업
「국가예방접종」은 국가가 권장하는 예방접종으로 국가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통해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과 예방접종의 실시기준 및 방법에 관한 권장사항을 정하고 있습니다. 국가예방접종 대상 감염병(17종)은 결핵(BCG), B형간염, DTaP, IPV(폴리오), DTap-IPV/Hib, DTaP-IPV, Hib, 폐렴구균(소아), MMR, 수두, A형간염, 일본뇌염(사백신,생백신),Td, Tdap, HPV, 인플루엔자 입니다. 일반 유료 예방접종은 B형간염, 장티푸스, 신증후군출혈열 입니다.
예방접종안내
국가예방접종
-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하며, 의료기관에 사전문의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종류 | 횟수 | 접종시기 | 비고 | |||||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
BCG(피내용) | 1 | 생후 4주이내 | 건강증진센터(팔룡동) 접종가능 ※ 예약필수 |
|||||
B형간염 | 3 | 출생후 | 1개월 | 6개월 | 건강증진센터(팔룡동) 접종 가능 |
|||
DTaP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
5 | 2개월 | 4개월 | 6개월 | 15~18개월 | 만4~6세 | ||
Td /Tdap (파상풍-성인디프테리아) |
1 | 만 11~12세 | ||||||
소아마비(주사용) | 4 | 2개월 | 4개월 | 6개월 | 만4~6세 | |||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Hib) |
4 | 2개월 | 4개월 | 6개월 | 12~15개월 | |||
소아폐렴구균 | 4 | 2개월 | 4개월 | 6개월 | 12~15개월 | |||
A형간염 | 2 | 12~23개월 | 1차 접종으로부터 12개월 후 |
건강증진센터(팔룡동) 접종 가능 12.1.1.이후 출생아 대상 무료접종 |
||||
MMR (홍역,볼거리,풍진) |
2 | 12~15개월 | 만4~6세 | 건강증진센터(팔룡동) 접종 가능 |
||||
수두 | 1 | 12~15개월 | ||||||
일본뇌염 | 사백신 | 5 | 12~23개월 | 1차 접종으로부터 일주일 후 | 2차 접종으로부터 12개월 후 | 만6세 | 만12세 | |
생백신 | 2 | 12~23개월 | 1차 접종으로부터 12개월 후 | |||||
로타바이러스 | 로타릭스(2회) | 2개월 | 4개월 | 로타예방접종은 ① 생후 15주가 되기 전 첫 번째 접종완료 ② 생후 8개월이 되기 전 모든 접종 완료 |
||||
로타텍(3회) | 2개월 | 4개월 | 6개월 |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 지원대상 | 만 12~17세 여성청소년 | |
만 18~26세 저소득층* 여성(*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
지원내용 | 자궁경부암예방접종 | 2회접종대상: 1차를 만15세 미만에서 접종 | |
3회접종대상: 1차를 만15세 이상에서 접종 | |||
지원백신 | 서바릭스(HPV2), 가다실(HPV4) |
보건소 무료접종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종류 | 횟수 | 접종대상 | 비고 |
---|---|---|---|
폐렴구균 | 1 | 만65세이상(1958.12.31. 이전 출생자) |
|
인플루엔자(독감) | 매년 접종 | 성산구 및 의창구 주민 중 만 14~64세 장애인, 의료급여, 국가유공자 및 유족증 소지자 |
보건소 유료접종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종류 | 횟수 | 접종시기 | 수수료 | 비고 | ||
---|---|---|---|---|---|---|
1차 | 2차 | 3차 | ||||
B형간염 | 3 | 접종희망자 중 간염항원 음성에 항체 미형성자 |
1차 접종으로부터 1개월 후 | 2차 접종으로부터 5개월 후 |
|
|
장티푸스 | 1 | 만5세 이상 접종희망자 | 1회 8,000원 | 필요시 3년마다 재접종 |
||
신증후군출혈열 (유행성출혈열) |
3 | 접종희망자 | 1차 접종으로부터 1개월 후 | 2차 접종으로부터 12개월 후 | 1회 8,200원 |
예방접종 종합안내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창원보건소 (신월동, 예방접종실) |
건강증진센터 (팔룡동, 예방접종실) |
동읍보건지소 | 북면보건지소 | 대산면보건지소 |
055-225-5776~8 ※코로나19로 접종 중단 |
055-225-5829,5846,5848 | 055-225-5894 ※코로나19로 접종 중단 |
055-225-5906 ※코로나19로 접종 중단 |
055-225-5915 ※코로나19로 접종 중단 |
※ 준비물 : 영유아(아기수첩), 성인(신분증) ※ 매주 수요일 접종 (영유아 예방접종은 접종 후 이상반응 관찰과 신속한 대처를 위해 가능한 오전 접종을 권장하오니 양해바랍니다.) ※ 접종시간 : 9시~17시 (점심시간 : 12시~13시) |
예방접종전 주의사항/접종후 주의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전 주의사항 | 예방접종후 주의사항 |
---|---|
|
|
예방접종의 금기사항 및 주의사항
- 백신 접종의 영구적인 금기사항
- 백신 성분에 대하여 또는 이전 접종 후에 심한 알레르기 반응(아니필락시스)이 발생했던 경우
- 백일해 백신 투여 7일 이내에 다른 이유가 밝혀지지 않은 뇌증이 발생했던 경우
- 소아기의 백일해 함유 백신 접종의 영구적인 주의사항
- 접종 48시간 이내 40℃의 발열
- 접종 48시간 이내 발생한 탈진 또는 쇼크와 같은 상태
- 접종 48시간 이내에 발생한 3시간 이상 달래지지 않고 지속되는 울음
- 발열여부와 관계없이 접종 3일 이내 발생한 경련
- 약독화 생백신 접종의 일시적인 금기사항
- 임신
- 면역저하
- 백신 접종의 일시적인 주의사항
- 중등도 또는 심한 급성기 질환은 모든 백신 접종시 주의
- 최근에 항체 함유제제를 투여받은 경우 MMR과 수두 함유 백신 접종 일정에 주의(대상포진 백신은 해당되지 않음)
예방접종 금기사항이 아닌 경우
- 일반적으로 다음의 경우는 예방접종 금기사항이 아니므로 의사와 상의 후 접종하시기 바랍니다.
- 경한 급성질환(설사, 경한 상기도 감염, 중이염)
- 과거 동일 백신 접종 후 경증 및 중증도의 국소 이상반응 혹은 경증 및 중등도의 발열이 있었던 경우
- 현제 항생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 최근에 감염성 질환에 자주 노출된 경우
- 질병의 회복기
- 가족 내에 임산부 혹은 면역저하자가 있는 경우
- 미숙아
- 모유수유
- 백신 외에 물질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 가족력(단, 가족 중에 면역저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일부 생백신의 금기가 될 수 있음)
예방접종절차
-
예진표 작성
-
접수
-
체온체크
-
예진
-
접종
-
접종 후 30분간 관찰 후 귀가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현황
- 현황은 변동 가능하므로 해당 의료기관 방문 전 전화 확인 바랍니다.
- 아래의 의료기관 중 파란색으로 표시된 의료기관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예방접종만 참여하는 의료기관입니다.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별 | 동별 | 의료기관명 | 전화번호 |
---|---|---|---|
의창구 | 대원동 | 황희승내과의원 | 238-1752 |
도계동 | 백승호가정의학과의원 | 288-7588 | |
도계동 | C&J미래여성병원 | 276-9200 | |
도계동 | 소병헌이비인후과의원 | 277-0556 | |
도계동 | 아이조아소아청소년과의원 | 237-8575 | |
도계동 | 이부경내과의원 | 277-6084 | |
동읍 | 윤앤김연합의원 | 251-8050 | |
동읍 | 현대소아청소년과의원 | 252-0964 | |
명서동 | 김건용내과의원 | 273-7711 | |
명서동 | 윤병구내과의원 | 273-7582 | |
명서동 | 재단법인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창원파티마병원 | 270-1000 | |
명서동 | 한솔내과의원 | 238-6260 | |
봉곡동 | 곽이비인후과의원 | 237-8073 | |
봉곡동 | 미즈맘산부인과의원 | 277-5588 | |
봉곡동 | 봉의원 | 288-0181 | |
봉곡동 | 서울가정의원 | 288-5755 | |
봉곡동 | 세종내과영상의학과의원 | 277-5700 | |
봉곡동 | 조내과의원 | 237-2552 | |
봉곡동 | 차내과의원 | 238-2534 | |
봉림동 | 연세안정우의원 | 275-1133 | |
북면 | 감계삼성내과의원 | 292-6800 | |
북면 | 무동의원 | 255-2434 | |
북면 | 북면소아청소년과의원 | 294-2119 | |
북면 | 시원이비인후과의원 | 296-7582 | |
북면 | 예인소아청소년과의원 | 237-8868 | |
북면 | 온소아청소년과이비인후과의원 | 298-6075 | |
사림동 | 사림우리들의원 | 266-4337 | |
서상동 | 강내과의원 | 295-7838 | |
소계동 | 조소아청소년과의원 | 256-1163 | |
소계동 | 허내과의원 | 296-8877 | |
소답동 | 이대규내과의원 | 295-2758 | |
중동 | 박성희소아청소년과의원 | 252-8575 | |
중동 | 최정미산부인과의원 | 252-7553 | |
팔용동 | 로즈맘여성산부인과의원 | 253-7722 | |
팔용동 | 문영일이비인후과의원 | 251-3542 | |
팔용동 | 박희용의원 | 297-8891 | |
팔용동 | 아름다운산부인과의원 | 253-7585 | |
팔용동 | 아이사랑소아청소년과의원 | 295-0200 | |
팔용동 | 이종인소아청소년과의원 | 251-8275 | |
팔용동 | 위드내과의원 | 293-7400 | |
성산구 | 가음동 | 가온내과의원 | 282-8511 |
가음동 | 스마일의원 | 289-7507 | |
가음동 | 안내과의원 | 262-0438 | |
가음동 | 유내과의원 | 264-0300 | |
가음동 | 윤은숙산부인과의원 | 287-1005 | |
가음동 | 좋은아침의원 | 262-0088 | |
남양동 | 김준욱내과의원 | 287-3366 | |
남양동 | 대화이비인후과가정의학과의원 | 285-3501 | |
남양동 | 서울연합의원 | 264-2668 | |
남양동 | 육내과의원 | 282-0965 | |
남양동 | 창원중앙병원 | 289-9111 | |
남양동 | 최이비인후과의원 | 266-1861 | |
대방동 | 꿈나무의원 | 286-7676 | |
대방동 | 대방의원 | 287-8406 | |
대방동 | 삼성내과의원 | 285-1613 | |
대방동 | 서울소아청소년과의원 | 282-1213 | |
대방동 | 선린자모의원 | 266-6655 | |
대방동 | 조은세상의원 | 275-7300 | |
대방동 | 황지영소아청소년과의원 | 296-5672 | |
반림동 | 김선경외과 박찬모내과의원 | 283-6700 | |
반림동 | 21세기내과의원 | 282-3339 | |
반림동 | 참사랑내과의원 | 261-1100 | |
반림동 | 참사랑소아청소년과의원 | 287-3006 | |
반지동 | 삼성연합의원 | 237-7582 | |
사파동 | 삼성가정의학과의원 | 264-8275 | |
사파동 | 최봉기내과의원 | 287-5822 | |
상남동 | 모란여성병원 | 253-3555 | |
상남동 | 서울산부인과의원 | 267-2290 | |
상남동 | 소리사랑이비인후과의원 | 264-9990 | |
상남동 | CNA서울아동병원 | 262-8511 | |
상남동 | 의료법인 한마음국제의료재단 한마음창원병원 | 267-2000 | |
상남동 | 최상호소아청소년과의원 | 261-5176 | |
상남동 | 최성근이비인후과의원 | 263-9064 | |
상남동 | 파티마소아청소년과의원 | 282-8275 | |
상남동 | 하나이비인후과의원 | 275-7582 | |
성주동 | 연세봄의원 | 266-3369 | |
성주동 | 창원경상대학교병원 | 214-1221 | |
신촌동 | 신촌의원 | 252-9711 | |
신촌동 | 영남의원 | 286-1542 | |
신월동 | 강의원 | 264-6333 | |
신월동 | 제일내과의원 | 275-5688 | |
안민동 | 아톰소아청소년과의원 | 283-5191 | |
안민동 | 안민하나의원 | 282-9452 | |
용호동 | 최연극내과의원 | 281-5356 | |
중앙동 | 구트병원 | 262-9000 | |
중앙동 | 근로복지공단 창원병원 | 280-0320 | |
중앙동 | Dr윤의원 | 263-8119 | |
중앙동 | 센텀산부인과의원 | 275-6336 | |
중앙동 | 인구보건복지협회경남지회 가족보건의원 | 283-5900 | |
중앙동 | 터직업환경의학과의원 | 261-0600 | |
중앙동 | 한서여성의원 | 713-8080 |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 지원내용
- 면역글로불림, B형간염 예방접종, 항원ㆍ항체 정량검사
- 지원방법
- 산전 진찰시 : 산모 B형간염 검사결과 확인
- 분만시
- 산모 B형간염 검사결과지 분만기관에 제출
- 개인 정보제공동의서에 서명
- 출생 후 12시간 이내 면역글로불린 및 1차 B형간염 예방접종
- 생후 1~15개월
- 2~3차 B형간염 예방접종(생후 1,6개월)
- 항원ㆍ항체검사(생후 9~15개월)
- 항원ㆍ항체검사결과에 따라 재접종 및 재검사
-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로 가능합니다.
예방접종 전산등록
- 폐업한 의료기관의 전산등록
- 예방접종내역의 전산등록은 실제 접종한 의료기관에서 등록. 단 해당 의료기관이 폐업한 경우라면 폐업 시 의료기관의 진료기록 담당자가 기록을 보관하거나 관할보건소에 진료기록부를 이관 처리하므로 해당 기관의 진료기록 담당자 또는 폐업의료기관의 관할보건소로 전산등록 요청.
- ★이때 진료기록부가 10년이 지나 폐기된 경우 전산등록 불가
- 국외 접종력 등록
- 국외에서 접종한 예방접종 전산등록을 위해 귀국 시 영문 예방접종증명서 또는 접종기관의 직인이나 공식사인(Official Signature or Stamp)이 표기된 서류 지참
- 또는 국가에서 예방접종수첩을 발급한 경우와 백신제조사에서 배포한 백신 라벨지(스티커)가 부착된 예방접종수첩의 접종기록은 인정
- 아기수첩으로 전산등록이 가능한 경우
- 폐업하여 기록을 확인할 수 없는 등의 부득이한 경우 아기수첩에 접종과 관련된 주요정보(접종일자, 접종기관, 접종기관의 도장 또는 서명, 백신제조번호)가 정확히 기입된 경우에만 전산등록 가능
- ※ 민간에서 발급한 아기수첩은 보호자에게 자녀의 접종내역을 잘 관리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예방접종증명서로 대체 불가
문의
- 창원보건소 건강관리담당 : 예방접종실 : 055-225-5776, 5778, 5846, 5829
- 위 접종은 보건소와 의료기관에서도 가능하며, 필수예방접종 17종에 대해 국가부담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질병관리본부( http://nip.cdc.go.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방접종 사전예진표
예방접종 사전예진표(한글) 다운로드 예방접종의 이상반응 안내(한글) 다운로드 예방접종 사전예진표(영어) 다운로드 예방접종 사전예진표(일본어) 다운로드 예방접종 사전예진표(중국어) 다운로드 예방접종 사전예진표(베트남) 다운로드
관련사이트 :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http://nip.cdc.go.kr/)
- 페이지 담당자
-
- 문의전화 : 1899-1111